학습부진 학생의 대한 개념정의 역시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습부진 학생을 잉그램은 학년진급에 요구되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여 연령집단 수준의 학업성적을 얻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학습자라고 정의했으며, 커크는 지적 결함을 가진 학생이라기보다는 교육 과정 적응에 곤란을 겪는 학생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박성익은 정상적인 학교 학습 능력이 있으면서도 선수학습 요소의 결손으로 인하여 설정된 교육목표의 최저 학습 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를 학습부진 학생으로 정의하여 개인의 선수학습 결손으로 인한 학업성취 부진을 강조하였다.
학교 현장에서는 특수교육에서 논의되는 장애의 분류에 속하지는 않으면서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학업성취가 뒤떨어지는 학생들을 쉽게 발견할 수가 있다. 같은 교육의 목표를 가지고 지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목표에 도달하는데 한참이 걸리거나 혹은 목표 수준에도 조차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생들을 학습부진 학생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학생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출현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현장의 교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대상이 된다. 여러 정의와 학자들의 개념정의를 놓고 보았을 때 학습부진의 개념은 학습 장애의 개념과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가지 개념 모두가 정상적인 지능 수준을 포함하며 학업성취가 부진하다는 공통성이 그것이다. 그러나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의 개념은 여러 가지 면에서 종요한 차이가 있다. 우선 학습장애는 엄연히 장애의 한분류로서 특수교육의 대상범위에 포함되지만 학습부진의 개념은 일반교육에서 보이고 있는 개념이다. 또한 학습장애로 인한 학업성취 부진은 개인의 읽기, 쓰기, 셈하기와 같은 특정분야 또는 여러 분야의 장애로 인한 것인 반면, 학습부진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학습결과가 최저 수준에 미달하는 경우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주로 뇌에 어떤 문제가 없으면서도 환경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학습기회의 부족으로 낮은 학업 성취 수준을 보이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학습부진의 특징으로는 그 원인이 어떤 특정한 장애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지만, 학습장애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들과 더불어 운동활동장애, 정서불안, 지각장애, 기호화장애, 주의집중장애, 기억장애 등을 그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런 특징들은 정상적인 학생들에게도 이따금씩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이며 학습부진 학생이라고 해서 이러한 모든 특성을 다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한 영역에서 학습부진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모든 특징을 고려함과 동시에 결과적으로 기대되는 학업성취와 실제 학업성취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학습부진을 보이는 학생의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학습부진 학생의 지도를 위해서는 학습장애 학생의 교육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임규혁은 학습부진 학생에게 사용될 수 있는 수업전략들을 적응수업전략과 교정수업전략으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부진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각 수업시간에 도달해야 할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수업진행에 대한 안내를 위하여 각 단원별 또는 차시별 수업 개요를 제시한다. 전문적인 어휘의 목록이나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해설자료를 제공한다. 학습부진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가정학습과제를 제공한다. 특별교재 또는 학습자료를 활용한다. 학습계획서를 작성해 주고 계속적으로 점검한다. 정보의 확인, 분석, 저장, 기억방법. 시험준비, 노트필기 방법과 같은 학습 기술을 지도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부진 학생의 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게 하는 방법이다. 교정수업전략은 학습을 방해하거나 장애가 되는 결함과 약점을 제거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으로, 학습부진 학생의 잘못된 학습습관을 확인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학습자를 변화시키는 데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교정수업전략에서는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개인별 진단이 중요하며, 이러한 진단결과에 따라 학습과제 및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시되게 된다.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을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기초학습기능형, 교과개별지도형, 직업프로그램, 학습전략형, 심리치료형이 있다. 기초학습기능형은 읽기, 쓰기 등 기초학습기능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며, 교과개별지도형은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내용으로 인해 흥미를 느끼지 못할 경우, 교육과정영역에서 지원 보충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직업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에 맞는 직업을 탐색, 준비시키는 과정이며 학습전략형은 학습부진아의 공부방법을 발전시키고 수업활동을 개선시키는 목적의 프로그램이다. 심리치료형은 아동에 대한 압력의 감소, 인간관계의 개선, 동기양식이나 수준의 변화,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등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유치원의 경우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라 같은 연령이라 하더라도 개월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므로 교육목표에 수준이 미달되었다고 해서 학습부진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학습부진에 미치는 영향이 있으므로 가정과 잘 연계하여 가정 내의 교육과 유치원의 교육이 일관성 있게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월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더라도 분명 유치원 내에서도 학습 부진 유아가 존재함으로 교사는 이를 민감하게 반응하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 유아들의 학습부진은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는 다음시간에 논의해 보도록 하자.